상식
건강] 성공을 부르는 목소리? '과음'은 안돼요
무술
2011. 11. 1. 09:30
'술술 잘 넘어간다고해서 술이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처음엔 가볍게 시작한 술자리가 한 잔, 두 잔 마시다보면 결국 과음으로 이어지죠!
그런데 과음한 다음날 아침, 목이 아프거나 특히 목소리에 이상을 느끼는 직장인들이 많았는데요.
[최진욱/직장인 : 회식 다음날은 목이 좀 아프고 가래가 끼는 현상도 있고요.]
[최지혁/직장인 : 많이 잠기죠. 목소리도 별로 얘기하고 싶지 않죠.]
[이현철/직장인 : 말하는데도 조금 힘겹고 목이 많이 아파서 일하는데 지장이 좀 많습니다.]
술 마신 다음날 과연 목소리는 어떻게 변하는 걸까요?
목소리분석을 통해 알아봤습니다.
직장생활 2년차인 김재윤 씨가 바로 오늘(3일)의 주인공.
재윤 씨 역시 과음한 다음날이면 어김없이 잠긴 목소리가 고민인데요.
[김재윤/직장인 : 전날 술을 마시면 아침에 목이 대화를 하기 힘들 정도로 잠겨요. 그런데 이 증상 때문에 특별히 병원에서 진단받은 적은 없어요.]
먼저 술을 마시지 않은 상태에서 음성분석과 후두내시경 검사를 실시한 뒤, 그날 저녁 회사 회식자리에서 기분좋게 술을 마신 재윤 씨.
다음날 아침, 다시 병원을 찾아 전날과 같이 검사를 실시했는데요.
[김재윤/직장인 : 어제 회식이 있어서 술을 좀 마셨는데 아침에 일어나보니 목에 뭔가 낀 것 같고, 목소리도 더 잠긴 것 같습니다.]
음성 분석결과, 술을 마시기 전날의 경우 연두색 원 밖으로 나간 빨간부분이 적어 안정적인 상태인 반면, 술을 마신 다음날에는 빨간부분이 대부분 원 밖으로 나가있어 현재 목소리가 매우 불안정한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후두 내시경 검사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성대) 아래쪽이 많이 부어있고, 뒤쪽도 심하게 부어있습니다. 이렇게 성대마찰이 심하거나 진동이 심하면 성대가 두꺼워지면서 (화면과 같이) 하얗게 보이게 됩니다.]
그렇다면 전날 마신 술이 성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요?
먼저 사람이 술을 마시면 알코올 성분이 목으로 넘어가면서 성대 점막을 자극하는 1차 손상을 일으킵니다.
이어서 흡수된 알코올을 분해하기 위해 온 몸의 수분을 끌어들이는데요.
이때 목소리가 잠기고 갈라지는 2차 손상이 발생됩니다.
이렇게 성대가 손상을 입게 되면 다음날 아침 목소리 잠긴다 혹은 목소리 상태가 나쁘다..라고 느끼게 되는 것이죠.
하지만 문제는 술 자체라기보다는 술을 얼마나 많이 마시느냐이기 때문에 주종에 맞는 잔으로 두 잔 정도, 천천히 마시는 것은 목소리에 큰 무리를 주지 않습니다.
그런데 목소리가 좀 나쁘면 어떠냐, 일하는데 목소리가 무슨 상관이냐 하시는 분들!
혹시 메라비안의 법칙에 대해서 들어보셨나요?
사람이 어떤 메시지를 전달할 때 그 내용자체가 갖는 비중은 7%밖에 되지 않는 반면, 그 사람의 목소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38%나 된다는 연구결과인데요.
[김형태/이비인후과 전문의 : 같은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때 목소리가 더 좋을수록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직접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사람이 회의 때 같은 내용을 전달하더라도 과음로 인해 목소리가 잠긴 사람은, 술을 마시지 않아 목소리 상태가 좋은 사람에 비해 만족스런 결과를 얻지 못할수도 있다는 가능성, 염두해 두어야겠죠?
손 쉽게 건강한 목소리를 가꾸기 위해서는 하루에 8잔 이상의 물을 수시로 마시고, 가습기나 젖은 수건을 이용해서 공기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해야합니다.
또 오전 11시에서 4시 사이에 창문을 열어 공기를 환기 시켜주는 것도 좋은 방법인데요.
좋은 목소리가 성공을 부르는 시대!
술이 주는 순간의 즐거움은 이제그만 놓아버리고, 생활습관의 작은 변화로 건강과 성공 모두 챙겨보시는건 어떨까요?
그런데 과음한 다음날 아침, 목이 아프거나 특히 목소리에 이상을 느끼는 직장인들이 많았는데요.
[최진욱/직장인 : 회식 다음날은 목이 좀 아프고 가래가 끼는 현상도 있고요.]
[최지혁/직장인 : 많이 잠기죠. 목소리도 별로 얘기하고 싶지 않죠.]
[이현철/직장인 : 말하는데도 조금 힘겹고 목이 많이 아파서 일하는데 지장이 좀 많습니다.]
술 마신 다음날 과연 목소리는 어떻게 변하는 걸까요?
목소리분석을 통해 알아봤습니다.
직장생활 2년차인 김재윤 씨가 바로 오늘(3일)의 주인공.
재윤 씨 역시 과음한 다음날이면 어김없이 잠긴 목소리가 고민인데요.
[김재윤/직장인 : 전날 술을 마시면 아침에 목이 대화를 하기 힘들 정도로 잠겨요. 그런데 이 증상 때문에 특별히 병원에서 진단받은 적은 없어요.]
먼저 술을 마시지 않은 상태에서 음성분석과 후두내시경 검사를 실시한 뒤, 그날 저녁 회사 회식자리에서 기분좋게 술을 마신 재윤 씨.
다음날 아침, 다시 병원을 찾아 전날과 같이 검사를 실시했는데요.
[김재윤/직장인 : 어제 회식이 있어서 술을 좀 마셨는데 아침에 일어나보니 목에 뭔가 낀 것 같고, 목소리도 더 잠긴 것 같습니다.]
음성 분석결과, 술을 마시기 전날의 경우 연두색 원 밖으로 나간 빨간부분이 적어 안정적인 상태인 반면, 술을 마신 다음날에는 빨간부분이 대부분 원 밖으로 나가있어 현재 목소리가 매우 불안정한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후두 내시경 검사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성대) 아래쪽이 많이 부어있고, 뒤쪽도 심하게 부어있습니다. 이렇게 성대마찰이 심하거나 진동이 심하면 성대가 두꺼워지면서 (화면과 같이) 하얗게 보이게 됩니다.]
그렇다면 전날 마신 술이 성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요?
먼저 사람이 술을 마시면 알코올 성분이 목으로 넘어가면서 성대 점막을 자극하는 1차 손상을 일으킵니다.
이어서 흡수된 알코올을 분해하기 위해 온 몸의 수분을 끌어들이는데요.
이때 목소리가 잠기고 갈라지는 2차 손상이 발생됩니다.
이렇게 성대가 손상을 입게 되면 다음날 아침 목소리 잠긴다 혹은 목소리 상태가 나쁘다..라고 느끼게 되는 것이죠.
하지만 문제는 술 자체라기보다는 술을 얼마나 많이 마시느냐이기 때문에 주종에 맞는 잔으로 두 잔 정도, 천천히 마시는 것은 목소리에 큰 무리를 주지 않습니다.
그런데 목소리가 좀 나쁘면 어떠냐, 일하는데 목소리가 무슨 상관이냐 하시는 분들!
혹시 메라비안의 법칙에 대해서 들어보셨나요?
사람이 어떤 메시지를 전달할 때 그 내용자체가 갖는 비중은 7%밖에 되지 않는 반면, 그 사람의 목소리가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38%나 된다는 연구결과인데요.
[김형태/이비인후과 전문의 : 같은 내용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때 목소리가 더 좋을수록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직접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두 사람이 회의 때 같은 내용을 전달하더라도 과음로 인해 목소리가 잠긴 사람은, 술을 마시지 않아 목소리 상태가 좋은 사람에 비해 만족스런 결과를 얻지 못할수도 있다는 가능성, 염두해 두어야겠죠?
손 쉽게 건강한 목소리를 가꾸기 위해서는 하루에 8잔 이상의 물을 수시로 마시고, 가습기나 젖은 수건을 이용해서 공기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해야합니다.
또 오전 11시에서 4시 사이에 창문을 열어 공기를 환기 시켜주는 것도 좋은 방법인데요.
좋은 목소리가 성공을 부르는 시대!
술이 주는 순간의 즐거움은 이제그만 놓아버리고, 생활습관의 작은 변화로 건강과 성공 모두 챙겨보시는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