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잔치의 의미는
아기를 출산한 후 삼칠일(21일)은 산모를 보호하는 데 진력하는 시기이고, 신생아를 중심으로 경축하는 날은 바로 백일입니다.
삼칠일에는 새 아기를 집안사람에게만 보여주고 내연(內宴)으로 잔치를 베푸나 백일은 온 친척, 온 동네가 알게 큰 잔치를 베풀어 많은 축하객을 맞이하여 크게 자축하고 축복을 받는 날입니다.
백(百)은 완전, 성숙의 뜻을 가진 꽉 찬 숫자를 의미하므로 신생아의 발육은 백일을 고비로 큰 고개를 잘 넘었다는 뜻으로 경하하는 뜻으로 잔치를 하는 것입니다.
백일상은 三神床(삼신상)이라고도 합니다. 삼신께 장수 무강을 기원하는 의미이지요.
감사의 뜻으로 쌀밥 세 사발, 소미역국 세 탕기, 정화수(井華水), 즉 냉수 세 대접을 한상에 나란히 차려서 안방아랫목에 놓아 둡니다. 손님 상에도 쌀밥과 미역국 ·김구이 ·너비아니(쇠고기 군 것) ·삼색나물(흰나물 ·푸른나물 ·누런나물) 등을 갖추어 놓고 또 부침개를 소담스럽게 차려서 대접한다.
또 여러 가지 떡을 했는데 백설기, 수수팥떡, 인절미, 송편을 하였습니다.
백설기는 정결(淨潔)과 흰머리가 될 때까지 장수(長壽)하라는 의미를,
수수팥떡은 부정(不淨)한 기운을 막는 주술적 의미를 가집니다.
아마 동지팥죽과 같이 붉은 색이 부정한 기운을 막아준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인절미는 찹쌀로 만들어 차지고 단단하라는 축복을 담았으며
송편은 속을 넣은 것과 넣지 않은 것 두가지를 만들었습니다.
속이 꽉꽉 찬사람이 되고, 또한 속이 넓은 사람이 되라는 뜻을 담았지요.
백일떡은 100명에게 나누어 주어야만 백 살까지 오래 산다고 믿어 이웃과 나누어 먹었습니다.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음식 "불도장" (0) | 2007.10.08 |
---|---|
추석(秋夕) (0) | 2007.09.23 |
군자(君子)의 주작문화(酒酌文化) (0) | 2007.09.10 |
태극기 (0) | 2007.09.10 |
땅이름 (0) | 2007.09.10 |